드롭프레임 (drop frame)
2022. 9. 4. 22:16ㆍIT
드롭프레임 필요한 이유?
- 컬러 신호가 추가되기 전 흑밴 신호만으로 동작했던 60Hz 비디오는 완벽하게 30fps로 작동되는 타임코드 사용
- 생상신호가 추가된 NTSC는 기존의 흑백 TV와 호환성을 갖게 하려고 흑백 신호에 컬러 신호를 추가하는 방식 개발
- 이 과장에서 기술적 이유로 0.1%, 즉 0.03프레임만큼의 시간 지연이 발생하였고, 이를 보완할 필요가 생김
드롭프레임이 없다면?
- 0.1% 지연으로 인해 뉴스와 같은 정시 방송이 불가
- 분당 1.9프레임씩 시간 지연
- 0시에 방송이 시작된다면 저녁 9시 뉴스 시간에는 2268프레임, 즉 1분 15초 18프레임 오차 발생
드롭프레임 적용 방법
- 비디오 신호는 0.1% 느려진 상태로 유지 하고 다음 2가지 규칙에 따라 일부 타임코드를 버리고 (드롭) 넘어감
- 1분마다 2개의 프레임 넘버를 건너뛴다
- 예) 08:38:59;29 프레임의 다음 프레임 타임코드는 08:39:00;00이 아닌 08:39:00;02
- 매 10분마다 2프레임 건넌뛰기를 수행하지 않음
- 예) 08:39:59;29 프레임의 다음 프레임 타임코드는 08:40:00;02이 아닌 08:40:00;00
사용법
- 30fps에 드롭프레임 타입코드를 적용하면 29.97fps가 됨
- 60i에 드롭프레임 타임코드를 적용하면 59.94i가 됨
- 표기의 단순화를 위해 29.97, 59.94대신 30또는 60으로 표기하는 경우 있음
- 논드롭프레임인 경우 콜론(:) 으로 표시, 드롭프레임은 세미콜론(;)으로 표시
타임코드의 구조
- HH:MM:SS;FF
- HH는 0부터 23의 값을 사용한 시간
- MM은 0부터 59의 값을 사용하는 분
- SS는 0부터 59의 값을 사용하는 초
- FF는 프레임을 의미하며 사용 범위는 0부터 해당 비디오시스템의 프레임레이트보다 1적은 값까지 사용
- 예) 05:32:55;08(05시 32분 55초 08프레임)
'드롭프레임 타입코드'
라고 해서 이미지 프레임을 버리는 (drop) 것이 아니라
단지 일부 규정된 타임코드 숫자만 버리고 사용하지 않는다는 것!!
반응형
'I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플러터 flutter 안드로이드스튜디오 설치 (0) | 2023.07.15 |
---|---|
플러터 설치 flutter (0) | 2023.07.15 |
open GoP, closed GoP 트랜스코딩, partial 작업 (1) | 2023.03.21 |
플러터(flutter) 업그레이드 (2.x > 3.x) (0) | 2022.09.17 |
ActiveMQ 작업할당 (0) | 2022.09.03 |